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02 17:30
본문
Download :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hwp
특히, 「ㅛㅏ, ㅠㅓ, ㆉ, ㆌ, ㆈ, ㆋ」 6자는 당시 국어에 존재하지 않았고, 또 사용예에도 우리말 표기에는 없었으므로 합용 모음 체계에서도 제외된다된다. 다만 한자음 교정표기를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본다.
순서
모음의변천
설명
다.
(1) 기본자 : · ㅡ ㅣ
설 형 음 감생성 원리•縮深天ㅡ小縮不深不淺地ㅣ 大縮淺人
초출자 : ㅗ, ㅏ, ㅜ, ㅓ
재출자 : ㅛ, ㅑ, ㅠ, ㅕ
2자합용 : ㅘ, ㆇ, ㅝ, ㆊ,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3자합용 : ㅙ, ㅞ, ㆈ, ㆋ
위와 같이 훈민정음 모음 조직은 기본 음운 11자, 2자 중성 14자, 3자 중성 4자, 모두 29자 체계로 되어 있다
그러나 합용 모음으로 구성된 18자는 실질적으로 기본 모음의 2중, 또는 3중 모음 등을 하나의 단위로 제정한 것이므로 단모음체계와는 별개의 문제이다.
그러므로 실제 우리말에 쓰였던 당신의 모음 체계로서는 복모음까지 합하여 다음의 23자 체계이다.
┏ · ㅡ ㅣ (기본자)
┃ ㅗ ㅏ ㅜ ㅓ (초출자)
┃ ㅛ ㅑ ㅠ ㅕ (재출자)
┃ ㅐ ㅚ ㅟ ㅔ ㆎ ㅢ ㅘ ㅝ ┓ 2~3자 합용자
┗ ㅒ ㅖ ㅙ ㅞ ┛
이 외에도 반모음으로서 /j/를 추가할 수 …(省略)
레포트/인문사회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
,인문사회,레포트




1. 중세 모음 체계(1443~ 17세기말)
훈민정음에 규정된 중세국어의 모음 조직은 천(天) · , 지(地) ㅡ , 인(人) ㅣ 의 삼재(三才)를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기본자를 배합하여 초줄자인 「ㅗ, ㅏ, ㅜ, ㅓ」와 재출자 「ㅛ, ㅑ, ㅠ, ㅕ」로 발전시켜 모음 11자를 기분 음운으로 체계화하였으며, 그리고 이 기본 음운을 합용하여 다시 2자, 3자의 합용 모음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기본모음응로 규정한 11모음 가운데에도 단모음이 아닌 재출자 /io, ia, iu, iӘ/, 또는 /jo, ja, ju, jӘ/ 로 볼 수 있어 단모음의 본질에도 어긋난다. 모음의변천 ,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인문사회레포트 ,
Download :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hwp( 34 )
모음의 변천을 중세, 근대, 현대로 나누어 살펴보자에 대한 자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