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교회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10 00:23
본문
Download : 작은교회.hwp
우선 이들의 주된 관심사는 오늘날의 대형 교회가 아니고 작은 규모의 교회입니다. 담임목사이신 김종포 목사님은 2000년대는 한국교회의 실정상 개척의 시대는 마무리되어지고 교회가 교회를 낳는 시대가 되어야한다는 생각을 설립당시 이미 가지고 계셨다고 합니다. 현재 우리 침례교단도 60%는 교인 300명이하의 교회라고 합니다.
성급한 사람들은 벌써부터 21C 교회의 고사(枯死)에 관련되어 우려를 표명하고 있습니다. 제가 사역하고 있는 교회는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있는 「아름다운교회」입니다. 비록 작은 교회일지라도 자신들의 사회적, 文化적 특…(省略)
Download : 작은교회.hwp( 20 )
작은교회
다.
레포트/감상서평
작은교회
설명
작은교회,감상서평,레포트
순서
작은교회 , 작은교회감상서평레포트 , 작은교회




REPORT
김승민
작은 교회를 읽은후서..
본 서는 headline(제목) 그대로 적은 분량이지만 결코 가볍지만은 않은 10장의 글로 이루어졌습니다. 저자는 서문에서 작은 교회의 작은 역할과 성장 능력이 없음을 이유로 폐쇄되어야 한다는 일부 교단 임원들의 意見에 동조를 보내고 있지만, 저의 생각은 오히려 그 반대로 대형교회의 분화(分化)를 주장합니다. 문제는 작은 교회의 상황에 맞는 Program의 개발입니다. 비록 출석교인 300명을 눈앞에 두고 있지만은 창립 때부터 선교와 전도, 제자훈련에 많은 투자를 하셨다고 합니다. 그러나 작은 교회는 영속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러것으로 볼 때 「작은교회」의 효용성이라는 것은 결코 대형교회의 그것과는 비교할 수도 없는 것이며, 그 사역의 모습의 매우 아름답다 아니할 수 없습니다. 올해로서 창립 10주년을 맞이하는데, 내년이면 “교회개척Program”에 의해서 지교회를 설립할 예정입니다. 물론 저자의 의도는 부정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오늘날 한구교회의 대다수 대형교회의 목회자들의 생각일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형교회는 자신들이 할 수 없는 역할들을 바로 작은 교회들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할 것입니다. 각 장은 각각의 저자들의 독특한 관심과 경험들을 반영하고 있으나, 결과적으로 몇 가지 공통된 結論(결론)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이름과 같이 교인들이 건강한 편인 교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