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09-24 11:35본문
Download : 불안_2105047.hwp
그러나 과제課題가 어려울 때는 오답행위 습관 H2 가 H1 보다 강하며 이 차이가 높은 불안 D 와 곱해져서 오답reaction response의 가능성 E2 가 정답reaction response 가능성 E1 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이런 경우 성적은 낮게 되는 것이다. 과제課題 수행을 촉진하는 reaction response은 학업성적을 증가시키지만 과제課題수행을 방해하는 reaction response은 학업성취를 감소시킨다.
E1: 정답reaction response 가능성 E2: 오답reaction response 가능성
D: 불안 수준 H1: 정답reaction response 습관 H2: 오답reaction response 습관
높은 시험불안이 과제課題가 어렵거나 쉬울 때 성취도를 감소 또는 증가시키는 이유를 이 公式 은 다음과 같이 설명(說明)한다. 과제課題 수행욕구는 시험 상황에서 과제課題 수행을 촉진하는 reaction response을 야기하지만, 불안 욕구는 과제課題 수행을 촉진하는 reaction response과 과제課題 수행을 방해하는 reaction response 모두를 유발한다.
Mandler 와 Sarason은 이러한 현상을 설명(說明)하기 위하여 시험상황에서 학생에게 일어나는 두 가지 종류의 욕구를 가정하였다. 이들의 연구에서는 시험불안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지능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으며, 그 차이는 시험상황이 위협적일 때 즉 성적이 본인에게 매우 중요하다고 인식될 때 더욱 컸다.시험불안사회불안 , 불안인문사회레포트 ,






불안에 대한 글입니다.순서
설명
불안에 대한 글입니다. 학습자는 상황에 따라 두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욕구가 발생하여 과제課題 수행을 촉진 또는 방해함으로써 성적이 증가 또는 감소한다.
한편 Alpert와 Haber(1960)는 시험불안을 두 종류로 나누어 성취촉진 시험불안(facilitating test anxiet…(省略)
불안
Download : 불안_2105047.hwp( 46 )
시험불안사회불안
레포트/인문사회
,인문사회,레포트
다.
일반 불안이 아닌 시험불안과 성취에 관한 연구는 Mandler 와 Sarason(1952)에 의해 이루어졌다. 하나는 학습된 과제課題 수행욕구(learned task drive)이고 다른 하나는 학습된 불안욕구(learned anxiety drive)이다. 과제課題가 쉬울 때는 정답reaction response 습관 H1 이 오답reaction response 습관 H2 보다 강하며 이 차이가 높은 불안 D 와 곱해져서 결국 정답reaction response의 가능성 E1 이 오답reaction response의 가능성 E2 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과제課題가 쉬울 때는 높은 불안이 성취도를 증가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