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삼국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23 02:36
본문
Download : 후삼국.pptx
_SLIDE_1_
豪族 세력의 대두와 후삼국
신라 下代의 정치 상황
` 진골귀족의 분열 `
1. 경덕왕대(742-765) : 신라의 문화 절정기
(1) 새로운 사회적 문화가 싹틈 : 진골 귀족들 사이 에서 전제주의 타도 운동이 일어남
(2) 경덕왕 : 이를 막기 위하여 漢化정책 중심 정치개 혁 실시, 실효를 거두지 못함
2. 혜공왕대(765-780)의 대혼란 초래
(1) 4년(768) 大恭의 난으로부터 비롯 - 전국의 96角干이 서로 싸웠다고 할 정도로 대란으로 확대, 3년 동안 계속
(2) 10년(774) 귀족파 양상 정권 탈취 성공 -` 혜공왕 은 빈자리를 지키다시피 했을 뿐임
_SLIDE_2_
(3) 金隱居 등이 몇 목차에 걸쳐서 왕권의 회복을 꾀 하였음, 모두 실패 -` 결국 양상 등에 의하여 혜공 왕은 죽음을 당하였음
3. 良相(宣德王)의 즉위(780) : 奈勿王의 10대손이라고 하였음
-` 선덕왕의 뒤 - 敬信(원성왕)의 즉위(785) : 내물왕의 12 대손이라고 하였음
⇒ 그 뒤 모두 元聖王의 계통에서 왕위에 오름 : 중대에 왕 위를 이어오던 태종무열왕계는 끊어지고 원성왕계가 왕위를 차지 - 하대의 개시
4. 하대의 특징
(1) 중대에서 하대로 변동 : 왕권의 전제주의에 대한 귀족들의 반항에 의해서 초래된 것
(2) 귀족연립적 정치 상황 - 執事部의 중시 대신에 상 대등이 다시 각광을 받게 됨
_SLIDE_3_
(3) 시대적 조류에 대한 반동이 일어남
1) 憲德王 14년(822) 金憲昌의 난 - 김헌창 : 무열왕 계, 귀족들의 반대로 인하여 원성왕에게 자리를 빼긴 김주원의 아들, 불만이 폭발하여 熊州(공주) 를 근거로 국호를 長安, 연호를 慶雲이라고 정하 고 난을 일으켰던 것
2) 한때 무진주(광주)완…(skip)
레포트/인문사회
Download : 후삼국.pptx( 83 )
설명
후삼국
순서
후삼국
후삼국 , 후삼국인문사회레포트 , 후삼국
후삼국,인문사회,레포트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