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amond fund의 사례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27 16:21
본문
Download : Diamond fund의 사례.hwp
다이아몬드 펀드 투자에 실패한 사례를 사회전반적으로 끼친 영향에 대해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Diamond fund의 사례
,법학행정,레포트
순서
다이아몬드 펀드의 투자 사례에 대해 쓴 리포트입니다. 다이아몬드 펀드 투자에 실패한 사례를 사회전반적으로 끼친 effect(영향) 에 대해 기술한 리포트입니다.★Diamondfund의사례 , Diamond fund의 사례법학행정레포트 ,
★Diamondfund의사례
다. 다이아몬드 펀드는 국내에서 모집한 300억원과 JP모건으로부터 5300만달러 상당의 엔화를 빌려 모두 8700만달러를 파생금융상품에 투자했다. 이유는 당시 바트화는 Japan 엔화에 통화 바스킷 방식으로 연동하여 움직이게끔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즉, 엔화가 절상(절하)되면 바트화도 절상(절하)되는 구조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다이아몬드 펀드 입장에서 최악의 경우는 엔화 가치는 상승하는데 바트화 가치는 하락하는 경우이다. 이 파생금융상품은 1년 만기의 인도네시아 채권에 투자, 인도네시아 통화가치가 엔화에 비해 상승하면 차익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만 그 반대가 되면 투자원금은 물론 원금의 4∼5배까지 물어줘야 하는 구조를 가진 파생상품이었다.
보람은행은 이 사건으로 대규모 손실이 발생, 경영지표에 큰 타격을 받게 돼 결국 하나은…(To be continued )
레포트/법학행정





설명
Download : Diamond fund의 사례.hwp( 81 )
다이아몬드 펀드의 투자 사례에 대해 쓴 리포트입니다. 결국 SK증권은 JP모건에 5억달러를 물어주고 보람은행은 SK증권에 3000만달러를 출자키로 합의를 봤다. JP모건은 다이아몬드 펀드에 돈을 빌려주면서 투자원금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보람은행과 투자원금 보장을 위한 금융파생상품(TRS:Total return swap)계약을 체결한다. 그러나 당시 상황에서 이는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였다. 보람은행도 다이아몬드 펀드와 똑같은 계약을 체결, 다이아몬드의 설립주체인 SK증권 등이 투자손실분을 지급하도록 계약을 체결했다. 투자손실이 발생하면 그 손실분을 보람은행이 지급보증해 준다는 계약이었다.
그러나 전혀 생각지도 못한 동남아시아 위기에 의한 태국 바트화 폭락 사태가 발생하면서 대규모 투자손실이 현실화됐고 JP모건은 파생상품 계약에 따라 보람은행에 1억8900만달러(당시 한화 3000억원)를 지급하라고 요구했고 SK증권은 JP모건이 맺은 TRS파생상품 계약은 신의성실이나 권리남용금지원칙을 위배한 사기거래라며 지급보증 중지를 요구하는 소송까지 제기했다. 결국 손실이 나면 보람은행이 SK증권 등으로부터 돈을 받아 JP모건에 손실분을 지급토록 하는 구조의 계약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