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국문학] 속미인곡 분석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8 07:11
본문
Download : 속미인곡 분석.hwp
을녀의 형상은 남성 유학자로서 송강이 임금을 상정하고 쓴 글이라는 특수성에 기인한 것으로 시가사에서 그 위치를 차지한다. 자신을 저버린 임에 대한 을녀의 태도는 끊임없는 모성애적 사랑과 절대적 존재에 대한 희구로 표출된다된다. 임을 향한 을녀의 이런 처절하리만큼 숭엄한 사랑의 모습은 그것이 유교 사회에 살던 남성 작가의 손에서 나왔다는 점에서 또한 작가 송강이 임금을 상정하고 지었다는 점에서 가능할 수 있었던 여성상이라 하겠다. 이제 이들을 서로 비교하여 그 내용전개 양상을 살펴보기로 하자. 속미인곡 자체의 내용전개순서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살피기 위하여 장문부의 전개순에 따라 양미인곡이 영향 받았다고 생각되는 구절을 order (차례) 로 요약해 표를 만들어보면 위와 같다. 이러한 을녀는 여요의 여성 화자의 성격과는 다르다. 따라서 두 여인이 주고받는 하소연의 실상은 송강 자신의 내면의식의 문학적 투사라 할 수 있다. 여요의 여성화자는 서민적, 유녀적(遊女的) 성격이 짙으나 <속미인곡>의 화자는 평범한 일상 부녀자의 모습은 있으나 자신의 감정을 통제할 줄 아는 유교적 도덕녀로서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일것이다 즉 여요의 화자처럼 직접적인 여성의 앙탈, 푸념 등이 없다. 이러한 모습, 즉 당대의 유교적 취향에 잘 부합된 을녀, 쉬운 우리말 가사, 연정시적 성격 등에 널리 애창된 것이다. 논문집을 인용해서 분석하기도 했고 표현방법이나 본문해설 송강 정철에 대한 것들을 다루었습니다.
속미인곡을 분석한 것입니다. 임의 사람을 잃은 그녀에게 주어진 것은 끊임없는 실의와 자기 반성뿐이다. 그녀는 임이 자신을 버린 것이 자신의 잘못 때문이라는 자성적 성숙함을 드러내면서 모든 것을 운명(조물의 탓)으로 받아들이는 운명론자적 체념 속으로 빠져든다. 그녀에게는 앙탈도 저주도 없으며 오직 순종적, 모성애적 사랑만이 자리한다. 그리고 을녀의 존재의의는 오직 임을 통해서만 실현되기 때문에 임이 사라지자 자신의 존재 의의도 무화되고 그 결과 거기에 원망이 자리할 틈이 없게 된다된다. 즉 이 작품의 중심화자인 을녀는 자신을 버린 임, 反應 없는 임에 대한 절대 사랑의 표상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이상 장문부와 양미인곡 전개순의 비교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다. 여러문헌을 바탕으로 논문집과같은 형태의 또다른 보고서를 작성한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기 반성은 그녀를 임에 대해 더욱 종속적이게 만들며, 반면 임의 존재적 가치를 더욱 절대화시키는 구실을 해 준다. 즉 갑녀도 송강의 분신의 일인이라면 나만 이렇게 슬플 것이 아니라 님도 슬프게 하려는 의지가 드러난 것이다. 이 여인들은 물론 작자를 개입시킨다면 송강의 분신이다. 그만큼 을녀는 남성위주의 유교 사회에서 앙모될 수 있는 임에게 저버림을 당한 여인으로 취할 수 있었던 당대의 모범적 여인상이다. 갑녀는 을녀에게 질문을 던져 그의 하소연을 유발해 내고 그의 하소연을 종결짓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반면 을녀는 갑녀의 질문에 응해 푸념 어린 신세한탄을 곡진히 피력함으로써 작품의 정서적 분위기를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속미인곡
속미인곡 분석, 속미인곡 표현방법
(1) 화자와 대상간의 관계로 본 내용 analysis
장 문 부
설명
속미인곡은 어떻게 구성되었을까. 이에 대하여 속미인곡 자체의 고찰만으로도 밝혀질 수 있겠으나 사미인곡과 더불어 속미인곡에 크게 영향을 미치었다고 보는 장문부의 전개과정과 비교하여 보면 그 特性(특성)이 더욱 뚜렷이 들어날 수 있다. 논문집을 인용해서 분석하기도 했고 표현방법이나 본문해설 송강 정철에 대한 것들을 다루었습니다. 더욱이 갑녀는 종결시 ‘구즌 비’를 말함으로써 보다 강한 의지를 드러낸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순서
① ⑤ ④③⑥ ⑧ ② ⑨ ⑦ ⑩ ⑪
Download : 속미인곡 분석.hwp( 71 )
가 명
사미인곡
다.
2) 내용 analysis 및 구성
① ② ④ ⑤ ⑥ ⑧ ⑦ ⑪ ③ ⑨ ⑩
전개순
[국어국문학] 속미인곡 분석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속미인곡을 분석한 것입니다.
화자의 위상
ㅍ(2) 구성
<속미인곡>의 화자의 위상은 작중에서 자신의 신세를 하소연하는 두 여인이다. 여러문헌을 바탕으로 논문집과같은 형태의 또다른 보고서를 작성한것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갑녀가 작품의 전개와 종결을 위한 기능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면 을녀는 작품의 주제 구현에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다.